육군 제1기갑여단장 준장 김창수'산림, 재앙으로 키울 것인가? 관리할 것인가?

  • 등록 2019.01.08 18:22:22
크게보기


과거 우리나라는 일본의 통치로부터 해방되면서 헐벗은 강토에 나무를 심기 위한 국민적 소망과 치산치수 정신에 입각하여 1946년 4월 5일 식목일을 국가시책으로 추진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벌거숭이산이 없어지고 산림녹화에 성공한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생활에 유용한 자원으로 또 자연재해 시 든든한 방어막이었던 산림이 현재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또 다른 재앙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실제 2011년 7월 한 달 동안 발생했던 우면산·춘천 펜션·밀양 산사태 사고는 이러한 현실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우면산 산사태 발생 하루 전 산림청에서 보낸 산사태 주의보 메시지가 있었고, 춘천 펜션 산사태 발생 1시간 전에는 이상 징후까지 있었으나 모두 관련 지식이나 구체적인 방책이 마련되지 않았기에 큰 피해를 입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토양의 구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토양은 밑에서부터 기반암, 하층토, 표층토/표토, 부엽토까지 총 4층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이중 산림녹화 이후 반세기 넘는 세월 동안 낙엽과 가지 등 5~60cm 높이로 쌓인 부엽토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첫째, 광선의 침투를 막는다. 원래 나무의 뿌리는 하층토까지 도달해야 그 힘이 단단해진다. 하지만 높게 쌓인 부엽토 사이로 햇빛이 들어가지 못하면서 뿌리 힘이 없어지게 된다. 결국 산사태를 막아 줄 나무들이 재해 시 그 기능을 발휘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산사태가 발생하게 된다. 쌓인 부엽토는 그 자체가 축축하게 젖어 있는 상태로 태풍과 집중호우 시 뿌리에 힘이 없는 나무가 미끄러지는 부엽토를 막아주지 못하게 되면서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이제는 치산치수가 아닌 산림간벌에 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다. 사람이 살고 있는 산 주변에 조기 간벌을 통해 부엽토를 퇴비로 변화시켜야 하고, 광선이 땅속 깊이 스며들어 과거 튼튼했던 지력(地力)을 회복해야만 한다. 그러할 때 자연이 주는 태풍과 장마에도 안전하게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유사시 임무수행을 해야 하는 군도 마찬가지다. 주둔지와 거점상에 수목 간벌 관리에 관심이 필요하다. 이에 1기갑여단은 동계시 영내 및 주거시설 인근 산에 대한 간벌작업을 진행 중이다.

영내는 부대에서 시행하고 주거시설 지역은 포천시 지원 하 추진 중에 있다. 안타깝지만 먼저 대비하지 않으면 당하게 되는 게 자연의 이치다.

산림, 우리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아직 늦지 않았다. 재앙으로 키우지 말고 관리하여 제 기능과 역할을 하는 소중한 자원으로 관리하자.../박봉석기자
관리자 기자
Copyright @2017.05 경기탑뉴스.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경기탑뉴스 / 발행인 박아헬 / 발행일 : 2015.10.27 / 제보광고문의 news@ggtopnews.com 연락처: 031-234-5683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역골로60번길24 101호 등록번호 경기 아51329 / 등록년월일 2015.4.27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봉석 / 편집·본부장 박아헬 Copyright ©2017.05 경기탑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