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 입지 관련 입장을 전하고 있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사진=박봉석 기자)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SK하이닉스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입지와 관련 경기도 입장을 밝혔다.
이 지사는 18일 오전 10시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곳, 제일 준비가 잘 되어 있는 곳, 조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한 곳에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돼야 한다”면서 “총 120조 원 규모 ‘SK하이닉스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 최적지는 경기도다”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어 “전 세계에서 반도체시장의 주도권을 놓고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이때 적기에 투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업경쟁력 확보 차원을 넘어 국가 미래 먹거리와 직결된 매우 중요한 사안이므로 반도체클러스터 입지는 정치논리가 아닌 경제논리로 판단되고 결정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 지사는 “경기도는 기존 반도체의 장점을 결합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의 ‘중심기지’ 건설을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해 왔다”면서 “경기도는 정부에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건의했고 그 결과 올해 정부 경제정책방향에 반영됐다”면서 도의 오랜 노력이 있었음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사업’ 계획으로 먼저 국내 반도체 부품·소재·장비의 국산화율이 매우 낮은 점을 고려해 대.중.소 기업이 함께하며 상생하는 클러스터 조성하고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을 높이며 우수 인재를 채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클러스터 내 모든 기업이 함께하는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편, 협력사 구성원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문화 복지시설 확충, 어린이·청소년 교육프로그램 운영, 어르신 돌봄 서비스 등 복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반도체 클러스터를 일자리와 주거·문화·교육이 함께하며 에너지절감과 환경, 안전, 교통을 첨단기술로 관리하는 복합스마트 시티로 조성할 방침이다.
끝으로 이 지사는 “정부의 역할은 공정하고 자유로운 환경을 만들어 기업이 경쟁력을 키우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라며 “수단에 의해 목적이 상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국토 균형발전 테두리 안에서 국민의 삶과 기업 활동에 최적 조건을 맞춰 우리정부가 잘 결정할 것이라고 믿는다”라고 말하며 기자회견을 마쳤다.../ 박봉석 기자